STEP 03 | B.S과정방송용싱어송라이터과정P.S 과정을 이수했거나 동등한 실력을 갖춘수강생들을 위한 클래스입니다. STEP 03 | B.S과정방송용싱어송라이터과정P.S 과정을 이수했거나 동등한 실력을 갖춘 수강생들을 위한 클래스입니다.보컬클래스감정과 테크닉을 잡는 법을 배우고 자신만의 개성있는 톤을 찾고 연구하며 테크닉과 퍼포먼스를 표현하는 법을 배워봅니다.자신만의 톤 찾기표현법 연구보컬 스킬 및 테크닉멜로디 표현법무대 퍼포먼스발표 수업자신만의 톤 찾기표현법 연구보컬 스킬 및 테크닉멜로디 표현법무대 퍼포먼스발표 수업탑라인클래스단조롭지 않고 일반적이지 않은 곡을 제작하는 법을 배워봅니다. 탑라인클래스단조롭지 않고 일반적이지 않은 곡을 제작하는 법을 배워봅니다.01 귀에 꽂히고 재미있는 리듬&라인 만들기02 반복적이지만 지루하지 않은 Hook 라인 만들기03 파트별 리듬과 대선율의 변화로 곡에 재미주기04 다양한 코러스 파트 들어보면서 각 파트의 연결성 배우기05 자신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와 래퍼런스를 통한 스타일 정하기06 본인이 작곡한 트랙 / 피아노 or 기타 or 미디 멜로디 습작하기07 노래에서 전환점이 되는 브릿지 스타일 잡기08 자신이 추구하는 스타일에 맞게 탑라인 하는 법09 노래의 각 파트별로 탑라인 빌드업 시키기미디클래스Engineering & Mixing Mastering Curriculum ㅡ01.Mix & Mastering의 차이 및 진동시스템. 스피커의종류와 구조 및 CrossOver frequency, 가청주파수, 디지털 음악 및 데시벨에 대한 이해ㅡ02.각종 Analyzer 에 대한 이해. Spectrum, Sonogram 등이 보여주는 정보에 대한 이해 및 Harmonics (배음 Overtons) 에 대한 이해ㅡ03.실내 음향과 모니터링 개선. 방음, 흡음, 확산에 대한 차이와 필요 이유ㅡ04.Mixing & Console. 프리앰프와 콘솔, 헤드룸 임피던스 및 용어와 채널 스트립, 패치베이에 대한 이해ㅡ05.다양한 Effect 에 대한 소개 및 처리방식에 대한 이해. Insert 방식과 Send / Return (Aux) 방식에 대한 이해ㅡ06.Equalization 에 대한이해. Filter의 종류와 메인 시퀀서 기본 EQ를 사용하여 각종 Parameter에 대한이해ㅡ07.Dynamics 에 대한 이해. Dynamic Range에 대한 이해와 메인 시퀀서, 기본 Compressor의 Parameter에 대하여ㅡ08.EQ과 Compressor 고급 Equalizer와 Compressor 의 Parameter에 대한이해ㅡ09.Dynamic Effect의 종류. Noise gate와 Expander 등의 Compressor 원리 응용한 추가적인 Dynamics이펙터들의이해ㅡ10.시/공간 Effect에 대한 이해. LFO 에 대한 이해. Delay와 Reverb구조와 Parameter에 대하여ㅡ11.Reverb의 종류 및 사용 법에 대한 이해. SynthDec Reverb와 Convolution Reverb에 대한 차이와 쓰임새에 대한 이해ㅡ12.Delay의 응용. Ping pong delay, doubling등의 효과, Auto filter와 결합하여 사용하여 여러 효과를 구현ㅡ13.MS기법과 Equalization 과 다양한 Compression. MS 기법에 대한 이해와 Equalization 과 Multi compression을 통한 사운드 개선과 응용ㅡ14.Pitch Tune Program 기본 DAW 내의 프로그램(flux pitch, Vari audio) 과 Waves tune, Melodyne, Auto tune에 대한 이해ㅡ15.Vocal Track Mix를 개선 할수 있는 좋은 방법. Hopping Noise와 Sibilance(치찰음) 등을 개선 하는 방법에 대하여ㅡ16.Mixing 준비 단계 및 Check 사항들. Recording 음원을 들어보면서 주요한 사항 체크 및 의도 파악과 진행되는 Editing과정. 참고) Mike senior-Mixing Secrect Multi fileㅡ17.Izotope사의 Ozone을 통한 간이 마스터링. 간이 마스터링을 해봄으로 Ozone의 체인의 플러그인들을 알수 있고, Mastering 과정에 대한 이해ㅡ18.Noise의 종류와 불필요한 Noise를 개선하는 방법. 작업, 시스템 오류등으로 불필요한 Noise를 개선 하는 방법과 Izotope 의 RX를 사용하여 개선하는 방법